
지난 2월 21일,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연구소는 서울역 인근의 그랜드센터럴에서 민간위탁 담당 공무원 및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5-1차 민간위탁 선진화 서비스 품질경영 교육을 진행하였다. 본 교육은 교육 진행 전 설문을 통하여 교육생들의 궁금사항과 의견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 민간위탁 주요 이슈 및 흐름 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이 구성되었다.

해당 교육은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의 홍원기 팀장을 중심으로 민간위탁의 이해, 민간위탁 표준적 관리,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 민간위탁 투명한 관리의 네 파트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의 이해’ 파트에서 민간위탁의 정의 및 혼동될 수 있는 개념들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국가정책 차원에서 민간위탁과 관련된 이슈들과 변화를 설명하였다. 또한 민간위탁 사무추진 단계로서 민간위탁관리모델(Contracting Out Management Model)를 소개하였다.

민간위탁관리모델(COM)은 ‘민간위탁사무 운영방식 선정, 조례 준수, 운영예산 적정성 검토, 서비스디자인 입찰기획, 계약서 작성, 성과목표 설정 및 성과 지표개발, 투명‧효율적 운영, 성과평가결과 환류’ 총 8단계 절차로 이와 같은 민간위탁 관리모델을 중심으로, 운영예산 적정성 검토 내용에서는 민간위탁 원가산정 기준, 인건비 적용기준, 분야별 원가산정 사례 등 민간위탁 원가 관리의 전반적 이해를 돕고 교육대상자인 민간위탁 담당자들이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이 이어졌다.

또한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의 한 부분인 민간위탁 성과평가 내용에서는 평가를 통한 공공서비스의 개선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강조하고 이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한 노력을 살펴보았다. 평가의 핵심인 성과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구성된 필수적인 평가 요소를 확인하도록 하였으며, 표준적인 민간위탁 성과평가 지표를 소개하였다.

추가로 핵심지표들을 차례로 살펴보았으며 특히 민간위탁 성과평가의 성과측정을 위한 사전적이고 정량적인 목표설정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타 지자체의 지침 및 타 기관 예시를 통하여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 서비스의 지속적 개선 파트에서 민간위탁 입찰 및 계약 프로세스와 계약법에 근거한 입찰기획, 민간위탁 계약 및 관리와 평가결과의 활용 등을 설명하였다.

한편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는 민간위탁 교육을 통해 담당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및 종사자들과 서비스 품질향상 방안에 대해 꾸준히 소통해 나가고 있으며 또한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수탁기업 관리자, 지방의회 의원, 사회적경제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방문교육 등 분야별로 전문화된 강의를 꾸준히 개최하고 있다.

지난 2월 21일,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연구소는 서울역 인근의 그랜드센터럴에서 민간위탁 담당 공무원 및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5-1차 민간위탁 선진화 서비스 품질경영 교육을 진행하였다. 본 교육은 교육 진행 전 설문을 통하여 교육생들의 궁금사항과 의견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 민간위탁 주요 이슈 및 흐름 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이 구성되었다.
해당 교육은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의 홍원기 팀장을 중심으로 민간위탁의 이해, 민간위탁 표준적 관리,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 민간위탁 투명한 관리의 네 파트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의 이해’ 파트에서 민간위탁의 정의 및 혼동될 수 있는 개념들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국가정책 차원에서 민간위탁과 관련된 이슈들과 변화를 설명하였다. 또한 민간위탁 사무추진 단계로서 민간위탁관리모델(Contracting Out Management Model)를 소개하였다.
민간위탁관리모델(COM)은 ‘민간위탁사무 운영방식 선정, 조례 준수, 운영예산 적정성 검토, 서비스디자인 입찰기획, 계약서 작성, 성과목표 설정 및 성과 지표개발, 투명‧효율적 운영, 성과평가결과 환류’ 총 8단계 절차로 이와 같은 민간위탁 관리모델을 중심으로, 운영예산 적정성 검토 내용에서는 민간위탁 원가산정 기준, 인건비 적용기준, 분야별 원가산정 사례 등 민간위탁 원가 관리의 전반적 이해를 돕고 교육대상자인 민간위탁 담당자들이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이 이어졌다.
또한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의 한 부분인 민간위탁 성과평가 내용에서는 평가를 통한 공공서비스의 개선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강조하고 이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한 노력을 살펴보았다. 평가의 핵심인 성과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구성된 필수적인 평가 요소를 확인하도록 하였으며, 표준적인 민간위탁 성과평가 지표를 소개하였다.
추가로 핵심지표들을 차례로 살펴보았으며 특히 민간위탁 성과평가의 성과측정을 위한 사전적이고 정량적인 목표설정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타 지자체의 지침 및 타 기관 예시를 통하여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 서비스의 지속적 개선 파트에서 민간위탁 입찰 및 계약 프로세스와 계약법에 근거한 입찰기획, 민간위탁 계약 및 관리와 평가결과의 활용 등을 설명하였다.
한편 공공관리연구원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는 민간위탁 교육을 통해 담당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및 종사자들과 서비스 품질향상 방안에 대해 꾸준히 소통해 나가고 있으며 또한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수탁기업 관리자, 지방의회 의원, 사회적경제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방문교육 등 분야별로 전문화된 강의를 꾸준히 개최하고 있다.